반응형
서울시와 국토교통부는 2022년 1월 14일, 재개발이 어려운 저층주거지를 위한 새로운 정비방식으로 "모아주택 활성화"를 제시하였습니다.
이에 따라, 각 지역별로 "모아타운 대상지 선정기준"에 따라 모아타운 선정 가능성을 평가하고자 합니다.
이 지역의 입지적 특징은 간략하게 아래와 같습니다.
<지도현황>
<토지형상>
<노후도>
<호수밀도>
<접도율>
이 지역의 모아타운 및 재개발 가능성은 다음과 같이 분석됩니다.
※ 임의로 구역 선정하여 분석하기에 판단에 참고하시길 바랍니다.
※ 모아타운, 재개발 가능성 분석을 원하시는 지역이 있으시면 댓글로 남겨주시기 바랍니다.
반응형
'서울 모아타운, 재개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(서울 모아타운 가능성 분석) 서울 성북구 정릉동 716-62 일대 (0) | 2023.05.01 |
---|---|
(서울 모아타운 가능성 분석) 서울 성동구 사근동 293-54 일대 (1) | 2023.04.21 |
(서울 모아타운 가능성 분석) 서울 관악구 신림동 1667-5 일대 (0) | 2023.03.24 |
(서울 모아타운 가능성 분석) 서울 중랑구 묵동 178-3 일대 (1) | 2023.03.14 |
(서울 모아타운 가능성 분석) 서울 관악구 봉천동 892-23 일대 (0) | 2023.03.04 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