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동작구 모아타운4

(서울 모아타운 가능성 분석) 서울 관악구 봉천동 41-448 일대 서울시와 국토교통부는 2022년 1월 14일, 재개발이 어려운 저층주거지를 위한 새로운 정비방식으로 "모아주택 활성화"를 제시하였습니다. 이에 따라, 각 지역별로 "모아타운 대상지 선정기준"에 따라 모아타운 선정 가능성을 평가하고자 합니다. 이 지역의 입지적 특징은 간략하게 아래와 같습니다. 이 지역의 모아타운 및 재개발 가능성은 다음과 같이 분석됩니다. 구분 수치 다세대 등 비율 29.6% 대상지 면적(㎡) 30,160 과소필지 50.0% 노후도 46.2% 노후도(모아타운 기준) 61.0% 호수밀도(호/ha) 94.16 접도율 66.1% 공원녹지 비율 0.0% 모아타운 선정 가능성 45.0% 재개발 가능여부 NO ※ 임의로 구역 선정하여 분석하기에 판단에 참고하시길 바랍니다. ※ 모아타운, 재개발 가능.. 2023. 1. 3.
(서울 모아타운 가능성 분석) 서울 동작구 노량진동 221-44 일대 서울시와 국토교통부는 2022년 1월 14일, 재개발이 어려운 저층주거지를 위한 새로운 정비방식으로 "모아주택 활성화"를 제시하였습니다. 이에 따라, 각 지역별로 "모아타운 대상지 선정기준"에 따라 모아타운 선정 가능성을 평가하고자 합니다. ​ 이 지역의 입지적 특징은 간략하게 아래와 같습니다. ​ - 주소 : 서울 동작구 노량진동 221-44 일대 - 면적 : 52,948 ㎡ 모아타운 및 재개발 가능성은 다음과 같이 분석됩니다. 구분 수치 다세대 등 비율 8.3% 대상지 면적(㎡) 52,948 과소필지 56.2% 노후도 52.1% 노후도(모아타운 기준) 72.0% 호수밀도(호/ha) 71.13 접도율 82.9% 공원녹지 비율 0.0% 모아타운 선정 가능성 55.8% 재개발 가능여부 NO ※ 임의로 구역.. 2022. 9. 30.
(서울 모아타운 가능성 분석) 서울 동작구 노량진동 210-10 일대 서울시와 국토교통부는 2022년 1월 14일, 재개발이 어려운 저층주거지를 위한 새로운 정비방식으로 "모아주택 활성화"를 제시하였습니다. 이에 따라, 각 지역별로 "모아타운 대상지 선정기준"에 따라 모아타운 선정 가능성을 평가하고자 합니다. ​ 이 지역의 입지적 특징은 간략하게 아래와 같습니다. ​ - 주소 : 서울 동작구 노량진동 210-10 일대 - 면적 : 17,695 ㎡ 이 지역의 모아타운 및 재개발 가능성은 다음과 같이 분석됩니다. 구분 수치 다세대 등 비율 0.8% 대상지 면적(㎡) 17,695 과소필지 56.8% 노후도 59.1% 노후도(모아타운 기준) 83.0% 호수밀도(호/ha) 68.18 접도율 68.8% 공원녹지 비율 0.0% 모아타운 선정 가능성 54.0% 재개발 가능여부 NO ※ .. 2022. 9. 29.
(서울 모아타운 가능성 분석) 서울 동작구 상도동 210-135 일대 서울시와 국토교통부는 2022년 1월 14일, 재개발이 어려운 저층주거지를 위한 새로운 정비방식으로 "모아주택 활성화"를 제시하였습니다. 이에 따라, 각 지역별로 "모아타운 대상지 선정기준"에 따라 모아타운 선정 가능성을 평가하고자 합니다. ​ 이 지역의 입지적 특징은 간략하게 아래와 같습니다. ​ - 주소 : 서울시 동대문구 장안동 289-14 일대 - 면적 : 39,270 ㎡ 이 지역의 모아타운 및 재개발 가능성은 다음과 같이 분석됩니다. 구분 수치 다세대 등 비율 32.7% 대상지 면적(㎡) 39,270 과소필지 44.2% 노후도 44.4% 노후도(모아타운 기준) 60.0% 호수밀도(호/ha) 84.29 접도율 70.6% 공원녹지 비율 0.0% 모아타운 선정 가능성 45.0% ※ 임의로 구역 선정하.. 2022. 9. 16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