분류 전체보기188 (서울 모아타운 가능성 분석) 서울 성북구 정릉동 192-256 일대 서울시와 국토교통부는 2022년 1월 14일, 재개발이 어려운 저층주거지를 위한 새로운 정비방식으로 "모아주택 활성화"를 제시하였습니다. 이에 따라, 각 지역별로 "모아타운 대상지 선정기준"에 따라 모아타운 선정 가능성을 평가하고자 합니다. 이 지역의 입지적 특징은 간략하게 아래와 같습니다. 이 지역의 모아타운 및 재개발 가능성은 다음과 같이 분석됩니다. 구분 수치 다세대 등 비율 30.2% 대상지 면적(㎡) 32,370 과소필지 56.3% 노후도 44.8% 노후도(모아타운 기준) 63.0% 호수밀도(호/ha) 82.79 접도율 94.0% 공원녹지 비율 0.0% 모아타운 선정 가능성 45.0% 재개발 가능여부 NO ※ 임의로 구역 선정하여 분석하기에 판단에 참고하시길 바랍니다. ※ 모아타운, 재개.. 2023. 8. 4. (서울 모아타운 가능성 분석) 서울 구로구 구로동 469-5 일대 서울시와 국토교통부는 2022년 1월 14일, 재개발이 어려운 저층주거지를 위한 새로운 정비방식으로 "모아주택 활성화"를 제시하였습니다. 이에 따라, 각 지역별로 "모아타운 대상지 선정기준"에 따라 모아타운 선정 가능성을 평가하고자 합니다. 이 지역의 입지적 특징은 간략하게 아래와 같습니다. 이 지역의 모아타운 및 재개발 가능성은 다음과 같이 분석됩니다. 구분 수치 다세대 등 비율 9.9% 대상지 면적(㎡) 20,711 과소필지 45.3% 노후도 64.5% 노후도(모아타운 기준) 69.0% 호수밀도(호/ha) 111.08 접도율 83.7% 공원녹지 비율 0.0% 모아타운 선정 가능성 45.0% 재개발 가능여부 NO ※ 임의로 구역 선정하여 분석하기에 판단에 참고하시길 바랍니다. ※ 모아타운, 재개.. 2023. 7. 14. (서울 모아타운 가능성 분석) 서울 금천구 독산동 149-19 일대 서울시와 국토교통부는 2022년 1월 14일, 재개발이 어려운 저층주거지를 위한 새로운 정비방식으로 "모아주택 활성화"를 제시하였습니다. 이에 따라, 각 지역별로 "모아타운 대상지 선정기준"에 따라 모아타운 선정 가능성을 평가하고자 합니다. 이 지역의 입지적 특징은 간략하게 아래와 같습니다. 이 지역의 모아타운 및 재개발 가능성은 다음과 같이 분석됩니다. 구분 수치 다세대 등 비율 25.6% 대상지 면적(㎡) 26,973 과소필지 57.1% 노후도 54.8% 노후도(모아타운 기준) 67.0% 호수밀도(호/ha) 230.97 접도율 95.7% 공원녹지 비율 0.0% 모아타운 선정 가능성 45.0% 재개발 가능여부 NO ※ 임의로 구역 선정하여 분석하기에 판단에 참고하시길 바랍니다. ※ 모아타운, 재.. 2023. 7. 11. (서울 모아타운 가능성 분석) 서울 강북구 수유동 486-2 일대 서울시와 국토교통부는 2022년 1월 14일, 재개발이 어려운 저층주거지를 위한 새로운 정비방식으로 "모아주택 활성화"를 제시하였습니다. 이에 따라, 각 지역별로 "모아타운 대상지 선정기준"에 따라 모아타운 선정 가능성을 평가하고자 합니다. 이 지역의 입지적 특징은 간략하게 아래와 같습니다. 이 지역의 모아타운 및 재개발 가능성은 다음과 같이 분석됩니다. 구분 수치 다세대 등 비율 12.4% 대상지 면적(㎡) 39,642 과소필지 69.4% 노후도 66.9% 노후도(모아타운 기준) 80.0% 호수밀도(호/ha) 57.77 접도율 75.0% 공원녹지 비율 5.2% 모아타운 선정 가능성 45.0% 재개발 가능여부 OK ※ 임의로 구역 선정하여 분석하기에 판단에 참고하시길 바랍니다. ※ 모아타운, 재개.. 2023. 6. 23. (서울 모아타운 가능성 분석) 서울 관악구 봉천동 41-566 일대 서울시와 국토교통부는 2022년 1월 14일, 재개발이 어려운 저층주거지를 위한 새로운 정비방식으로 "모아주택 활성화"를 제시하였습니다. 이에 따라, 각 지역별로 "모아타운 대상지 선정기준"에 따라 모아타운 선정 가능성을 평가하고자 합니다. 이 지역의 입지적 특징은 간략하게 아래와 같습니다. 이 지역의 모아타운 및 재개발 가능성은 다음과 같이 분석됩니다. 구분 수치 다세대 등 비율 7.6% 대상지 면적(㎡) 63,224 과소필지 48.3% 노후도 65.1% 노후도(모아타운 기준) 74.0% 호수밀도(호/ha) 66.94 접도율 66.1% 공원녹지 비율 0.2% 모아타운 선정 가능성 55.8% 재개발 가능여부 NO ※ 임의로 구역 선정하여 분석하기에 판단에 참고하시길 바랍니다. ※ 모아타운, 재개발.. 2023. 5. 18. (서울 모아타운 가능성 분석) 서울 관악구 봉천동 459-28 일대 서울시와 국토교통부는 2022년 1월 14일, 재개발이 어려운 저층주거지를 위한 새로운 정비방식으로 "모아주택 활성화"를 제시하였습니다. 이에 따라, 각 지역별로 "모아타운 대상지 선정기준"에 따라 모아타운 선정 가능성을 평가하고자 합니다. 이 지역의 입지적 특징은 간략하게 아래와 같습니다. 이 지역의 모아타운 및 재개발 가능성은 다음과 같이 분석됩니다. 구분 수치 다세대 등 비율 5.3% 대상지 면적(㎡) 20,639 과소필지 61.6% 노후도 73.4% 노후도(모아타운 기준) 81.0% 호수밀도(호/ha) 76.07 접도율 75.0% 공원녹지 비율 1.0% 모아타운 선정 가능성 54.0% 재개발 가능여부 OK ※ 임의로 구역 선정하여 분석하기에 판단에 참고하시길 바랍니다. ※ 모아타운, 재개발.. 2023. 5. 8. (서울 모아타운 가능성 분석) 서울 성북구 정릉동 692-5 일대 서울시와 국토교통부는 2022년 1월 14일, 재개발이 어려운 저층주거지를 위한 새로운 정비방식으로 "모아주택 활성화"를 제시하였습니다. 이에 따라, 각 지역별로 "모아타운 대상지 선정기준"에 따라 모아타운 선정 가능성을 평가하고자 합니다. 이 지역의 입지적 특징은 간략하게 아래와 같습니다. 이 지역의 모아타운 및 재개발 가능성은 다음과 같이 분석됩니다. 구분 수치 다세대 등 비율 23.4% 대상지 면적(㎡) 36,237 과소필지 59.2% 노후도 50.0% 노후도(모아타운 기준) 79.0% 호수밀도(호/ha) 68.88 접도율 75.8% 공원녹지 비율 0.2% 모아타운 선정 가능성 50.4% 재개발 가능여부 NO ※ 임의로 구역 선정하여 분석하기에 판단에 참고하시길 바랍니다. ※ 모아타운, 재개.. 2023. 5. 4. (서울 모아타운 가능성 분석) 서울 성북구 정릉동 716-62 일대 서울시와 국토교통부는 2022년 1월 14일, 재개발이 어려운 저층주거지를 위한 새로운 정비방식으로 "모아주택 활성화"를 제시하였습니다. 이에 따라, 각 지역별로 "모아타운 대상지 선정기준"에 따라 모아타운 선정 가능성을 평가하고자 합니다. 이 지역의 입지적 특징은 간략하게 아래와 같습니다. 이 지역의 모아타운 및 재개발 가능성은 다음과 같이 분석됩니다. 구분 수치 다세대 등 비율 18.1% 대상지 면적(㎡) 48,929 과소필지 61.5% 노후도 38.8% 노후도(모아타운 기준) 74.0% 호수밀도(호/ha) 50.71 접도율 90.8% 공원녹지 비율 0.0% 모아타운 선정 가능성 50.4% 재개발 가능여부 NO ※ 임의로 구역 선정하여 분석하기에 판단에 참고하시길 바랍니다. ※ 모아타운, 재개.. 2023. 5. 1. '23년 6월, "GTX-C 병점역 추가 정차" 발표가 기대됩니다! GTX-C는 '23년 6월 실시협약을 눈 앞에 두고 있습니다. 이를 위해 실시설계(안)에 대해 각 지자체에 의견을 조회했습니다. 지난해 7월 착수한 GTX-C노선 실시설계가 마무리 단계에 접어든 것으로 파악되었습니다! https://www.dnews.co.kr/uhtml/view.jsp?idxno=202304031434076070108 GTX-C노선 도봉구간 지하화 결론 ‘하세월’ www.dnews.co.kr 화성시와 오산시는 계획노선에 포함이 안 되었지만 아래와 같이 회신했습니다. 오산시는 특히 "병점주박기지"라고 명시하였습니다. 이는 즉, GTX-C 노선에 "병점차량사업소"가 포함됨을 의미합니다. 또, GTX-C 노선이 "병점차량사업소"로 가려면 "병점기지선"을 이용해야합니다. 이를 위해선 병점역 플.. 2023. 4. 23. (서울 모아타운 가능성 분석) 서울 성동구 사근동 293-54 일대 서울시와 국토교통부는 2022년 1월 14일, 재개발이 어려운 저층주거지를 위한 새로운 정비방식으로 "모아주택 활성화"를 제시하였습니다. 이에 따라, 각 지역별로 "모아타운 대상지 선정기준"에 따라 모아타운 선정 가능성을 평가하고자 합니다. 이 지역의 입지적 특징은 간략하게 아래와 같습니다. 이 지역의 모아타운 및 재개발 가능성은 다음과 같이 분석됩니다. 구분 수치 다세대 등 비율 9.1% 대상지 면적(㎡) 19,874 과소필지 61.7% 노후도 81.4% 노후도(모아타운 기준) 89.0% 호수밀도(호/ha) 111 접도율 86.1% 공원녹지 비율 1.5% 모아타운 선정 가능성 54.0% 재개발 가능여부 OK ※ 임의로 구역 선정하여 분석하기에 판단에 참고하시길 바랍니다. ※ 모아타운, 재개발 가.. 2023. 4. 21. 이전 1 2 3 4 ··· 19 다음