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서울시와 국토교통부는 2022년 1월 14일, 재개발이 어려운 저층주거지를 위한 새로운 정비방식으로 "모아주택 활성화"를 제시하였습니다.
이에 따라, 각 지역별로 "모아타운 대상지 선정기준"에 따라 모아타운 선정 가능성을 평가하고자 합니다.
이 지역의 입지적 특징은 간략하게 아래와 같습니다.
<지도현황>
<토지형상>
<노후도>
<호수밀도>
<접도율>
이 지역의 모아타운 및 재개발 가능성은 다음과 같이 분석됩니다.
구분 | 수치 |
다세대 등 비율 | 8.6% |
대상지 면적(㎡) | 15,334 |
과소필지 | 58.3% |
노후도 | 79.1% |
노후도(모아타운 기준) | 85.0% |
호수밀도(호/ha) | 101.08 |
접도율 | 70.5% |
공원녹지 비율 | 0.0% |
모아타운 선정 가능성 | 54.0% |
재개발 가능여부 | OK |
※ 임의로 구역 선정하여 분석하기에 판단에 참고하시길 바랍니다.
※ 모아타운, 재개발 가능성 분석을 원하시는 지역이 있으시면 댓글로 남겨주시기 바랍니다.
반응형
'서울 모아타운, 재개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(서울 모아타운 가능성 분석) 서울시 동대문구 전농동 1-180 일대 (1) | 2022.08.29 |
---|---|
(서울 모아타운 가능성 분석) 서울 용산구 후암동 281-1 일대 (0) | 2022.08.28 |
(서울 모아타운 가능성 분석) 서울시 금천구 시흥동 794-6 일대 (0) | 2022.08.26 |
(서울 모아타운 가능성 분석) 서울시 금천구 시흥동 905-50 일대 (0) | 2022.08.24 |
(서울 모아타운 가능성 분석) 서울 용산구 용산동2가 42-5 일대 (0) | 2022.08.23 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