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4/25~29 오이도역 시운전, GTX-C 노선 검토목적이 맞습니다.
그 이유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.
설명 이전에 '한국철도공사'와 '국가철도공단'의 차이는 다음과 같습니다.
- 한국철도공사 : '운영'을 담당, 운송, 차량정비 및 승차권판매 등 상업적 영업활동
- 국가철도공단 : '시설'을 담당, 국가대신 철도건설 및 철도시설 관리 업무 담당
그러기에, 시운전을 하기 위해선 철도시설을 담당하는 '국가철도공단'의 승인이 필요하며, 다음 방법에 의해 진행됩니다.
1. 이미 운영중인 노선에 대한 시운전
▶ 임시열차 배분신청(한국철도공사) → 임시열차 배분결정(한국철도공단)
2. 운영예정인 노선 혹은 자체적 시설 사용
▶ 임시열차 배분결정(한국철도공단)
지난 1년간('21년 5월 ~ 현재) 오이도역, 금정역, 의왕역 및 병점역 임시열차 배분내역을 분석했습니다.
그 결과, 4/25~29 오이도역 시운전만 한국철도공사의 신청없이 '임시열차 배분결정'된 것을 확인하였습니다.
이는 '운영예정인 노선 혹은 자체적 시설 사용'에 해당합니다.
문서생성일자 | 임시열차 배분 신청(한국철도공사) | 임시열차 배분 결정(국가철도공단) |
2022.04.14 | 없음 | 임시열차 배분 결정(4/25, 오이도∼금정 시운전) |
2022.04.14 | 없음 | 임시열차 배분 결정(4/29∼, 오이도∼병점 등 시운전) |
2022.04.14 | 없음 | 임시열차 배분 결정(4/28, 의왕∼오이도 시운전) |
2022.03.10 | 임시열차 배분 신청(3/24, 전기동차 시운전) | 임시열차 배분 결정(3/24, 오이도∼금정 전기동차 시운전) |
2021.11.09 | 임시열차 배분 신청(11.18 의왕-평택 디젤기관차 시운전) | 임시열차 배분 결정(11/18, 디젤기관차 시운전) |
2021.10.26 | 임시열차 배분 신청(11/3 오이도-망포, 전기동차 시운전) | 임시열차 배분 결정(11/3, 전기동차 시운전) |
2021.09.02 | 임시열차 배분 신청(9.14 오이도-금정 전기동차 시운전) | 임시열차 배분 결정(9/14, 전기동차 시운전) |
2021.09.02 | 임시열차 배분 신청(9.10 오이도-금정 전기동차 시운전 등) | 임시열차 배분 결정(9/10, 전기동차 시운전) |
2021.08.18 | 임시열차 배분 신청(09.01 오이도-금정 전기동차 시운전 등) | 임시열차 배분 결정(9/01, 전기동차 시운전) |
2021.07.30 | 임시열차 배분 신청(전기동차 시운전, 8/6 오이도-금정 등) | 임시열차 배분 결정(8/6, 전기동차 시운전) |
2021.07.27 | 임시열차 배분 신청(서울교통공사 전기동차 시운전, 8/2~3 남태령-오이도 등) | 임시열차 배분 결정(8/2∼, 서울교통공사 전기동차 시운전) |
2021.07.27 | 임시열차 배분 신청(전기동차 시운전, 7/30 오이도-금정 등) | 임시열차 배분 결정(7/30, 전기동차 시운전) |
2021.07.07 | 임시열차 배분 신청(전기동차 시운전, 7/14, 병점-신창 등) | 임시열차 배분 결정(7/14∼, 전기동차 시운전) |
2021.07.07 | 임시열차 배분 신청(전기동차 시운전, 7/20 오이도-죽전) | 임시열차 배분 결정(7/20, 전기동차 시운전) |
2021.07.07 | 임시열차 배분 신청(전기동차 시운전, 7/14 오이도-금정 등) | 임시열차 배분 결정(7/14, 전기동차 시운전) |
2021.07.06 | 임시열차 배분 신청(전기동차 시운전, 7/12 오이도-금정 등) | 임시열차 배분 결정(7/12, 전기동차 시운전) |
지난 1년간 철도공사 신청으로 시운전하던 노선이 갑자기 국가철도공단 임의적으로 시운전 운행을 한다?
이건, GTX-C 검토 목적의 시운전이라는 뜻입니다.

다른 분들의 '4호선 시운전'이라는 논리보다 "GTX-C 시운전"의 가능성이 더 높다고 봅니다. 진정한 고수시면, 호재가능성을 보시고 투자유무를 판단하시길 바랍니다.
반응형
댓글